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폐교를 리모델링해 창업한다고? 지금 도전하기 좋은 아이템과 조건 총정리
    카테고리 없음 2025. 6. 7. 18:34

    폐교 리모델링 창업 아이템 & 임대 조건 총정리

     

    농어촌 인구 감소와 저출산 현상으로 전국의 초·중·고등학교가 해마다 폐교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24년까지 누적 폐교 수는 약 3,900곳을 넘어섰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이 방치되거나 공공목적으로만 활용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폐교를 ‘창업 공간’이나 ‘로컬 비즈니스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넓은 공간, 저렴한 임대료, 지자체 지원금까지 더해져서 소자본 창업자나 지역 기반 스타트업, 1인 창업자에게 최적의 환경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폐교를 리모델링해 창업할 수 있는 현실적인 아이템 5가지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임대 조건, 신청 절차, 유의사항 등 필수 정보를 정리한다.


    1. 폐교 리모델링 창업 아이템 BEST 5

    ✅ 1) 로컬 카페 + 체험형 공간

    • 넓은 교실 1~2개를 카페로 리모델링
    • 창 밖 자연 뷰 활용 → 힐링 공간으로 브랜딩
    • 함께 운영 가능한 것: 로컬 굿즈 판매, 쿠킹 클래스, 도예 체험 등

    추천 지역: 강원도 평창, 전북 고창, 경북 안동
    운영사례: ‘학림다방’ (폐교 교실을 카페+전시공간으로 운영)


    ✅ 2) 반려동물 동반 캠핑장 / 펫 놀이터

    • 운동장 → 반려견 놀이터, 주차장, 글램핑 존으로 리모델링
    • 본관 건물 일부를 샤워실·카페·관리사무실로 활용 가능
    • 주말 위주로 운영해도 수익성 높음

    추천 지역: 충남 부여, 경북 청도, 전남 담양
    운영 팁: 반려동물 용품 브랜드와 협업해 체험형 마켓도 가능


    ✅ 3) 1인 크리에이터 영상 스튜디오 + 워케이션 공간

    • 교실마다 콘셉트별 촬영 공간 구성 (빈티지 교실, 그린스크린룸 등)
    • 방송/유튜브/라이브커머스 운영자 대상 대관
    • 기숙사 → 크리에이터 전용 숙박 시설로 활용 가능

    지원 사례: 전북 고창 ‘창의농업 캠퍼스’
    추가 수익모델: 공간 대여 + 편집 교육 + 커뮤니티 운영


    ✅ 4) 전통 공예 창업 공방 + 체험 클래스

    • 교실을 목공, 도예, 자수, 금속공예 등 분야별 공방으로 구성
    • 지역 청년 및 중장년 대상 기술 전수·창업 교육 가능
    • 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역관광과 연계 효과 큼

    추천 지역: 전남 나주, 강원 정선, 경북 예천
    운영 사례: ‘마을기술학교’, ‘한옥공예연구소’ 등


    ✅ 5) 농산물 가공·판매 창업 (6차 산업)

    • 식음료 소가공장 + 체험센터 + 마켓 복합공간 구성
    • 지역 농산물(딸기, 고구마, 표고버섯 등)을 활용해 가공식품 판매
    • 카페 + 판매 공간 + 전시관까지 연결 가능

    적합 지역: 전북 임실, 경남 하동, 강원 홍천
    지원 가능 항목: HACCP 컨설팅, 가공장 시설 지원, 농림축산식품부 보조금


    2. 폐교 임대 조건과 신청 방법

    ✅ 누가 신청할 수 있나?

    • 개인 또는 단체(1인 창업자, 협동조합, 소상공인, 청년단체 등)
    • 문화·교육·사회적경제·6차 산업 창업 분야 우선 선정
    • 과거 폐교 활용 경험 없어도 신청 가능

    ✅ 임대 조건은 어떻게 되나?

    항목조건
    임대기간 기본 3~5년 계약 (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
    임대료 연간 100만 원~500만 원 수준 (지역마다 다름)
    보증금 일부 지역은 없음, 많아도 1,000만 원 이하
    리모델링 사용자가 부담 / 일부 지자체는 보조금 최대 70% 지원
     

    💡 강원도, 전북, 경북 일부 지역은 ‘무료 임대 + 리모델링 예산 지원’도 있음


    ✅ 폐교 임대 신청 절차

    1. 해당 시/군청 또는 교육지원청 홈페이지에서 공고 확인
      → “폐교 활용자 모집” 키워드로 검색
    2. 신청서 작성
      → 사용계획서, 창업계획서, 자금조달 계획 등
    3. 현장 설명회 참석 (의무 아님)
    4. 심사 후 계약 → 리모델링 착수

    📌 Tip: 공모형 폐교는 매년 23회 모집. 상반기(35월), 하반기(8~10월) 집중.


    3. 폐교 창업 시 받을 수 있는 지원 제도

    ✅ 1) 농촌 유휴시설 활용 지원사업 (농림축산식품부)

    • 최대 5억 원까지 리모델링 및 창업 지원
    • 대상: 농촌지역 폐교를 활용하는 창업자
    • 비영리·영리 모두 신청 가능
    • 보조금 + 융자 혼합 형태

    👉 접수: 농림사업정보시스템


    ✅ 2)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업화 지원

    • 폐교 리모델링 후 공간 기반 사업에 대해
      제품 개발비, 마케팅비, 브랜딩비 등 지원
    • 초기 창업자 및 청년 우대

    ✅ 3) 창업진흥원 예비창업패키지

    • 폐교에서 사업 아이템을 실현하면 가점 부여
    • 사업화 자금 1억 원까지 가능

    마무리

    버려진 폐교는 끝이 아니다. 창업자에게는 오히려 비용 부담이 적고, 유니크한 공간 브랜딩이 가능한 황금 기회가 된다.
    특히 지역 문화와 연계하거나, 체험·교육·가공산업 등과 결합하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키울 수 있다.
    지금 시작하면, 전국적으로 2025년 하반기 폐교 임대 모집 시즌에 맞춰 충분한 준비가 가능하다.
    조용한 시골 학교에서, 당신의 창업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학교 종이 땡땡땡, 다시 울릴 시간이다.

Designed by Tistory.